국내 주식 대주주 요건은 어떻게 되나요?

    2025. 11. 3.

    국내 주식 대주주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국내 주식 대주주 여부는 보유 주식의 지분율 또는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판단하며, 이는 주식 양도 시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이 되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근거:

    1. 대주주 판정 기준:

      • 지분율 기준: 코스피 상장법인의 경우 1% 이상, 코스닥 상장법인의 경우 2% 이상, 코넥스 상장법인의 경우 4% 이상의 주식을 보유해야 합니다.
      • 시가총액 기준: 2024년 1월 1일부터는 보유 주식의 시가총액이 50억 원 이상인 경우 대주주에 해당합니다.
    2. 대주주 판정 시점:

      • 지분율 기준: 주식 양도일이 속하는 사업연도 직전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의 지분율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다만, 해당 사업연도 중에 지분율 기준을 초과하게 된 경우에는 그 취득일 이후부터 대주주로 간주됩니다.
      • 시가총액 기준: 주식 양도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3. 특수관계인 합산:

      • 최대주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본인뿐만 아니라 특수관계인(가족 등)이 보유한 주식까지 합산하여 대주주 여부를 판단합니다.
      • 최대주주가 아닌 경우에는 본인이 보유한 주식만으로 대주주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러한 대주주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주식 양도 시 발생하는 양도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가 과세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자신의 주식 보유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대주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수회계법인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대주주 판정 시 특수관계인 합산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대주주가 아닌 경우 주식 양도소득은 어떻게 과세되나요?
    주식 양도소득세율은 어떻게 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폐업한 사업장에서 24년도에 발급받지 못한 현금영수증을 동일 사업주가 다른 사업장 명의로 발급받을 수 있나요?

    계약금을 포기하는 경우 발생하는 세금은 무엇인가요?

    한전 잉여전력의 회계처리 및 상계처리에 대해 알려줘.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