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임대업 부동산임대소득 신고 시 기준경비율 방식과 단순경비율 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2025. 11. 6.
상가임대업 부동산임대소득 신고 시 기준경비율 방식과 단순경비율 방식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적용 대상
단순경비율: 당해 연도 수입금액이 2,400만원 미만인 신규사업자 또는 당해 연도와 전년도 수입금액이 모두 2,400만원 미만인 계속사업자에게 적용됩니다.
기준경비율: 연간 수입금액이 2,400만원 이상인 경우에 적용됩니다.
2. 경비 인정 방식
단순경비율: 수입금액의 41.5%(2023년 기준)를 일괄적으로 필요경비로 인정합니다. 실제 지출한 비용과 관계없이 적용되며, 별도의 증빙자료나 장부 작성이 필요 없습니다.
기준경비율: 매입비용, 인건비, 사업장 임차료 등 주요 경비는 실제 지출액으로 인정받고, 기타 경비에 대해서는 기준경비율(17.6%)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이 경우 각 항목별 증빙서류가 필요합니다.
3. 세무 처리 복잡성
단순경비율: 신고가 간편하고 증빙 부담이 적어 세무 처리가 용이합니다.
기준경비율: 실제 지출에 대한 증빙 관리가 필요하므로 단순경비율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복잡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입금액이 적고 실제 지출한 경비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단순경비율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실제 지출 비용이 많은 경우에는 기준경비율이나 간편장부 작성 방식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개별 상황에 따라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