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세액공제를 신청한다고 해서 임대인이 직접적으로 '세금 폭탄'을 맞는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임대인의 임대소득이 국세청에 노출되어 세금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은 있습니다.
임차인이 월세 세액공제를 신청하면 임대차계약서, 월세 이체 내역 등 관련 서류가 국세청에 제출되어 임대인의 임대소득이 파악됩니다. 연간 임대소득이 2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임대소득세 납부 의무가 발생하며, 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까지 포함될 경우 세금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대소득이 건강보험료 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임대인은 임대소득세 신고 및 납부와 관련된 행정적 절차를 거쳐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