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이트생 4대보험 신고 및 4대보험 적용 급여 계산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2025. 11. 7.
아르바이트생의 4대보험 신고 및 급여 계산 방법은 근로 시간과 계약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1. 4대보험 적용 기준:
- 월 60시간 이상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모두 의무 가입 대상입니다.
- 월 60시간 미만이지만 3개월 이상 근무 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모두 의무 가입 대상입니다.
- 월 60시간 미만 + 1개월 미만 근무 시: 고용보험과 산재보험만 의무 가입 대상입니다. (산재보험은 근무 시간과 무관하게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2. 4대보험료 계산 방법 (예시: 월 급여 62만원,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 가입 대상):
국민연금: 27,900원 (월 급여 62만원 x 4.5%)
건강보험: 21,979원 (월 급여 62만원 x 3.545%)
장기요양보험: 2,847원 (건강보험료 21,979원 x 12.81%)
고용보험: 5,580원 (월 급여 62만원 x 0.9%)
총 공제액: 58,306원
실수령액: 561,694원 (월 급여 62만원 - 총 공제액)
3. 급여대장 필수 기재사항:
- 근로자 인적사항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 지급내역 (기본급, 각종 수당 등)
- 공제내역 (4대보험료, 소득세 등)
- 실지급액
- 지급일자

정선화 변호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변호사정선화법률사무소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아르바이트생도 4대보험 의무가입 대상인가요?
4대보험 미가입 시 사업주에게 부과되는 불이익은 무엇인가요?
급여대장에는 어떤 항목을 반드시 기재해야 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