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서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여 무형자산으로 계상하는 경우, 감가상각 대상 금액은 해당 소프트웨어의 취득가액에서 잔존가액을 차감하여 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잔존가액은 영(0)원으로 보아 취득가액 전체를 감가상각 대상 금액으로 삼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취득가액은 구입 가격뿐만 아니라,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련된 모든 부대 비용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구입 가격, 설치비, 초기 설정 비용 등이 취득가액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다만,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현재가치로 평가하여 계상한 현재가치할인차금이나,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시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매입한 경우의 시가초과액 등은 취득가액에서 제외됩니다.
감가상각은 해당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체계적인 방법으로 비용을 배분하는 과정이며, 소프트웨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5년의 내용연수를 적용하여 감가상각을 진행합니다. 감가상각 방법으로는 정액법이 주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