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 집을 사업장 주소지로 사용해도 종합소득세 등 세금 문제가 없는지 알려줘.
2025. 11. 24.
부모님 명의의 자택을 사업장 주소지로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부모님께 직접적인 종합소득세 등 세금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부모님 집을 사업장으로 사용하더라도 세금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사업자 등록 전에 관련 내용을 명확히 확인하고 필요한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세금 문제: 사업자 등록 시 부모님과의 관계 및 임대차 계약 형태에 따라 세금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무상 임대차 계약을 통해 사업장으로 사용한다면, 부모님의 소득으로 잡히거나 직접적인 세금 부담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사업장으로 등록됨으로써 재산세 등 일부 세액 변동 가능성은 있습니다.
- 주민등록 및 세대 분리: 부모님과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업장 주소지로 등록하는 것에 대한 세무서의 판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부모님과 실제 별도 세대로 거주하고 있다면, 사업자 등록 전에 주민등록을 정리하여 사실관계에 맞게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1세대 1주택 비과세 등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양도소득세 문제와도 관련될 수 있습니다.
- 공무원 연금: 부모님이 공무원 퇴직 후 연금을 받고 계신 경우, 자택이 사업장으로 등록되는 것이 연금 수령액에 영향을 미치는지 공무원연금공단에 직접 확인해보시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사업자 등록 사실만으로 연금 감액이 발생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 무상 임대차 계약서: 부모님 집을 사업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업장으로 사용할 공간에 대한 권리를 증명하기 위해 '무상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업자 등록 신청 시 필요한 서류이며, 세무서에 따라 요구하는 양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 기타 고려사항: 사업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방문 고객 등으로 인한 민원 발생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부모님 집을 사업장으로 등록할 때 필요한 무상임대차계약서 작성 방법은 무엇인가요?
부모님 집을 사업장으로 등록하면 부모님의 공무원 연금에 영향을 미치나요?
사업장 주소지로 부모님 집을 사용해도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부모님 집을 사업장으로 등록할 경우, 재산세 등 부모님께 어떤 세금 변동이 있을 수 있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