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사업자 등록 시 구청에서 하는 임대사업자 등록과 세무서에 하는 사업자등록이 다른 것인지 알려주세요.
2025. 5. 19.
임대사업자 등록과 사업자등록은 별개의 절차입니다.
- 임대사업자 등록:
- 시·군·구청에서 진행
-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등록
- 임대주택 관련 혜택을 받기 위한 절차
- 사업자등록:
- 세무서에서 진행
- 「소득세법」에 따른 등록
- 세금 납부 및 관리를 위한 절차
임대사업자 등록 시 사업자등록을 동시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구청은 사업자등록 신청서를 관할 세무서로 송부합니다. 두 등록은 목적과 절차가 다르지만, 임대사업 운영을 위해 모두 필요한 과정입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임대사업자 등록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임대사업자 등록과 사업자등록의 주요 혜택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식당 사업자등록 주소지만 자택으로 변경하고 영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지?
무등록 중고 리셀러가 계좌이체 위주로 거래한 경우, PG사에 집계된 금액만 소명하면 부가가치세 등의 추후 세무 리스크가 없는지?
세무조사 없이 소명요청 후 무대응 시 세무조사가 원칙적으로 진행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2023년부터 2025년까지 무등록 상태로 중고 리셀을 하면서 실제 재산 취득이 없고 소규모 거래(총 입금액 5억, 순이익 7천만 원)인 경우 현실적으로 세무조사나 부가가치세 추징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무등록 개인 리셀러가 자진신고를 할 경우, 계좌 전체 입금액 기준으로 매출을 신고해야 하므로 추후 세무조사 대비 리스크가 더 커지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