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023년, 2024년의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유동비율, 부채비율, 자기자본비율, 자기자본순이익률을 어떻게 계산하나요?
2025. 6. 19.
유동비율, 부채비율, 자기자본비율, 자기자본순이익률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각 비율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동비율: 단기적인 지급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값입니다.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 부채비율: 기업의 재무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총부채를 자본으로 나눈 값입니다. (총부채 / 자본) * 100
- 자기자본비율: 기업의 순자산이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자기자본 / 총자산) * 100
- 자기자본순이익률: 자기자본을 활용하여 얼마나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입니다.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각 비율을 계산할 때는 2022년, 2023년, 2024년의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해당 연도의 수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이익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정확한 계산을 위해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유동비율, 부채비율, 자기자본비율, 자기자본순이익률은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각 비율의 적정 수준은 어떻게 되나요? 업종별 차이는 있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