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도회원권과 골프회원권의 회계처리 방법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2025. 7. 8.

    콘도회원권과 골프회원권의 회계처리는 적용하는 회계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 K-GAAP(일반회계기준) 적용 시:

      • 골프회원권: 반환 가능한 자산으로 보아 투자자산 또는 기타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하며, 감가상각이나 손상평가는 하지 않습니다.
      • 콘도회원권(공유제): 부동산(토지, 건물)을 취득한 것으로 보아 토지와 건물로 구분하여 인식하며, 건물 부분은 감가상각을 인식합니다.
      • 콘도회원권(회원제): 기타보증금/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하며, 감가상각 대상이 아닙니다.
    • K-IFRS(국제회계기준) 적용 시:

      • 골프회원권: 성격에 따라 보증금형태는 보증금과 무형자산으로, 지분권형태나 예탁금 반환시기가 불확실한 회원권은 전액 무형자산으로 분류합니다.
      • 콘도회원권(공유제): 유형자산으로 분류하며, 건물 부분은 감가상각을 인식합니다. 보증금은 무형자산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골프회원권 취득 시 회계처리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콘도회원권 공유제(건물분, 대지분)의 회계처리 및 분개 방법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