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매장에서 택스프리 판매 시 절차와 세무 처리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2025. 7. 14.

    오프라인 매장에서 택스프리(Tax Free) 판매를 위해서는 먼저 면세판매장으로 지정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후 KTP와 같은 택스리펀 서비스에 가입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절차:

    1. 면세판매장 지정 신청: 홈택스에서 '면세판매장 지정 신청'을 검색하여 신청하거나, KTP 앱을 통해 신청 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면세판매장은 사후면세점이라고도 불리며,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해 국가에서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2. 택스리펀 서비스 가입 신청: KTP 앱을 다운로드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가입이 완료되면 담당자가 배정되어 서비스 이용 안내를 도와줍니다.

    이용 방법 (KTP 앱 기준):

    • 매장에 있는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등)를 통해 이용 가능합니다.
    • 외국인 고객의 여권을 스캔하여 자동 여권 조회를 진행합니다.
    • 구매 금액을 입력하면 환급 처리가 완료됩니다.
    • 별도 영수증 없이 모바일 영수증으로 처리가 가능합니다.

    세무 처리 방법:

    • 택스프리 서비스 이용료는 없습니다. 외국인이 환급받는 부가세 중 일부를 수수료로 수취하는 구조이므로 매장에서 발생하는 이용료나 손해는 없습니다.
    • 매출 발생 시 부가세 신고는 영세율 매출로 신고하게 되므로, 공급가액은 변하지 않습니다. 즉, 11만원 판매하고 부가세 1만원을 낸 경우와 이익은 동일합니다.
    • KTP와 같은 서비스는 관련 자료를 정리하여 매 신고 기간마다 제공하므로, 세무사나 홈택스에 자료를 업로드하기만 하면 간편하게 세금 처리가 가능합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택스리펀을 받을 수 있는 물품의 최소 구매 금액은 얼마인가요?
    외국인 관광객이 택스리펀을 받기 위해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