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부가가치세 신고 시 유의해야 할 절세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요?

    2025. 7. 16.

    약국은 일반의약품 판매(과세)와 조제 용역(면세)을 함께 제공하는 겸영사업자이므로, 부가가치세 신고 시 과세 매출과 면세 매출을 명확히 구분하고 매입세액 공제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과세 및 면세 매출의 정확한 구분: 일반의약품 판매는 과세 매출, 조제 용역은 면세 매출에 해당하므로 이를 정확히 구분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매출 구분이 어렵다면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매입세액 공제 활용: 과세 매출에 해당하는 매입분은 매입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약국 운영에 필요한 비품 구매 시 세금계산서나 사업자등록번호가 기재된 신용카드 영수증, 전자세금계산서 등 적격증빙을 반드시 수취하여 매입세액 공제를 받아야 합니다. 특히, 의약품 매입액은 일반약 판매용과 조제약 판매용을 꼼꼼히 분류하여 과세 매입세액을 공제받아야 합니다.
    • 신용카드 발행 세액공제: 일반의약품 판매 등 과세 관련 매출액을 신용카드로 결제한 경우, 판매금액의 1.3%를 신용카드 발행 세액공제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연간 한도 천만원이 적용되며, 직전연도 과세 관련 매출액이 십억 원 이상인 약국은 적용 제외됩니다.
    • 증빙 서류 철저히 준비: 과세/면세 구분된 매출 및 매입 세금계산서, 조제 매출 내역, 당뇨 소모성 재료 판매 내역, 신용카드/현금영수증 매출 자료, 사업용 계좌 입금 내역 등 모든 증빙 서류를 빠짐없이 준비해야 합니다.
    • 성실신고확인제도 활용: 연 매출 십오억 원 이상 약국은 성실신고확인 대상자로서 각종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약국에서 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약국 부가가치세 신고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