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주임대료 분개 시 왜 부가세만 분개하는지 이유가 무엇인가요?
2025. 7. 17.
간주임대료를 분개할 때 부가가치세만 회계 처리하는 이유는 간주임대료 자체가 실제 현금 흐름이 없는 '간주' 수입이기 때문입니다. 즉, 보증금에 대한 이자를 임대료로 간주하여 부가가치세를 과세하는 것이므로, 실제 임대료 수입이 발생한 것이 아니기에 공급가액 전체를 회계 처리하지 않고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에 해당하는 금액만 처리합니다.
- 실제 현금 흐름 없음: 간주임대료는 임대보증금에 대한 이자를 임대료로 간주하는 것으로, 실제 현금으로 임대료를 받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실제 수입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공급가액 전체를 수익으로 인식하여 분개할 필요가 없습니다.
- 부가가치세 과세 목적: 간주임대료는 전세금이나 임대보증금에 대해 금전 이외의 대가를 받는 것으로 보아 부가가치세를 과세하기 위해 산정됩니다. 따라서 이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를 반영하기 위해 해당 부가가치세액만 회계 처리합니다.
- 회계 처리의 간소화: 간주임대료의 공급가액 전체를 회계 처리할 경우 복잡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만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회계 처리를 간소화하여 실무적인 편의를 도모합니다.
-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 없음: 간주임대료는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가 없습니다. 이는 실제 재화나 용역의 공급이 아니기 때문이며, 이 또한 부가가치세액만 회계 처리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간주임대료 계산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간주임대료 분개를 하지 않았을 때의 불이익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