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과 IRP 중 해외 ETF 투자 시 어떤 계좌가 세금 혜택이 더 좋은가요?
2025. 7. 21.
해외 ETF 투자 시 연금저축과 IRP 계좌 모두 세금 혜택이 있지만, IRP 계좌가 연금저축보다 세액공제 한도가 더 높아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세액공제 혜택: 연금저축과 IRP 계좌를 합산하여 연간 납입액의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중 연금저축만 납입하는 경우 연간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IRP 계좌를 함께 활용하면 900만 원까지 한도가 늘어납니다. 총급여액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인 경우 납입액의 16.5%를, 초과하는 경우 13.2%를 세액공제받습니다.
- 과세이연 효과: 연금저축과 IRP 계좌에서는 매매차익과 분배금에 대해 즉시 원천징수하지 않고, 나중에 연금을 수령할 때 연금소득세(5.5%~3.3%)로 과세합니다. 이로 인해 발생한 수익을 재투자하여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손익 통산: 국내 상장된 해외 ETF에 투자할 경우, 연금저축과 IRP 계좌에서는 수익과 손실을 통산하여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일반 계좌에서는 손익 통산이 되지 않습니다.
- 금융소득종합과세 제외: 연금저축과 IRP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자 및 배당소득은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금융소득이 많은 경우 절세에 유리합니다.
- 건강보험료 부과 제외: 연금저축과 IRP 계좌의 금융소득은 퇴직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될 때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ISA 계좌 만기 시 연금계좌로 전환 납입하면 어떤 세금 혜택이 있나요?
해외 상장 ETF 투자 시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