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 신고 시 유의해야 할 사항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2025. 7. 23.
부가가치세 신고 시에는 가산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 몇 가지 유의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 정확한 신고 및 납부: 부가가치세는 신고납세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과세표준과 세액을 정확하게 신고하고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성실하게 신고하거나 납부할 경우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가산세 종류:
- 무신고 가산세: 부당 무신고 시 납부세액의 40%, 일반 무신고 시 20%가 부과됩니다.
- 과소신고·초과환급신고 가산세: 부당 과소신고 시 납부세액의 40%에 일반 과소신고 납부세액의 10%가 추가됩니다.
- 납부불성실·환급불성실 가산세: 미납세액 또는 초과환급세액에 경과일수와 이자율(1일 22/100,000)을 곱하여 계산됩니다.
- 영세율 과세표준 신고불성실 가산세: 무신고 또는 과소신고된 영세율 과세표준의 0.5%가 부과됩니다.
- 미등록 가산세: 공급가액의 1%(간이과세자는 공급대가의 0.5%)가 부과됩니다.
- 세금계산서 관련 가산세: 지연 발급, 미발급, 종이 세금계산서 발급, 전자세금계산서 지연/미전송 등 다양한 유형에 따라 공급가액의 0.3%~2%가 부과됩니다.
- 홈택스 활용: 홈택스를 통해 전자신고를 이용하면 편리하며, 납부면제 대상 간이과세자의 경우 최종 납부할 세액이 0원임을 명확히 안내받을 수 있어 착오 납부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부가가치세 신고 기한은 언제인가요?
부가가치세 신고 후 정정이 가능한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