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편집 전문가가 사업자등록 시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 프로그램 제작 관련 서비스업,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중 어떤 업종을 주업종으로 선택해야 하나요?

    2025. 7. 30.

    영상 편집 전문가가 사업자등록 시 선택할 주업종은 사업 운영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 미디어콘텐츠 창작업(업종코드 921505): 사무실 등 물적 시설을 임차하고 직원을 고용하여 인건비가 발생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인적 또는 물적 시설을 갖추고 인터넷 기반의 영상 콘텐츠 등을 창작하고 수익화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업종코드 940306): 혼자서 사무실 없이 유튜브 등을 통해 수익을 얻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인적 또는 물적 시설 없이 인터넷 기반으로 다양한 주제의 영상 콘텐츠 등을 창작하고 이를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여 시청자에게 유통함으로써 수익이 발생하는 산업 활동을 말합니다. 유튜버, BJ, 크리에이터 등이 이 업종 코드에 해당합니다.

    • 영화, 비디오물, 방송 프로그램 제작 서비스업(업종코드 921503): 영상 제작의 전반적인 외주 작업을 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업종 코드는 주로 영상 제작 전반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단순 영상 편집만을 주업으로 하는 경우에는 위 두 가지 업종 코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영상 편집 프리랜서가 사업자등록을 해야 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사업자등록 시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 중 어떤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