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과세자로 상품권매매업 사업자 등록이 이미 된 경우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2025. 7. 31.
일반과세자로 상품권매매업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더라도 특별한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상품권매매업은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아니므로 부가가치세 신고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상품권매매업의 업종 분류: 상품권매매업은 과거에는 기타 금융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제9차 한국표준산업분류표에 따라 사업지원서비스업(업종코드 659901)으로 분류됩니다.
- 부가가치세 비과세: 상품권은 재화나 용역의 공급에 해당하지 않는 유가증권으로 보아 부가가치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품권 판매 시 세금계산서나 계산서를 교부할 수 없습니다.
- 세액 감면 혜택: 상품권매매업은 사업지원서비스업으로 분류되므로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과 같은 세액 감면 혜택을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세무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상품권매매업의 수입금액 계산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상품권매매업을 시작할 때 사업자등록증에 어떤 업종과 업태를 선택해야 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개인사업자에 부동산권리분석사, 영상편집전문가, 영상콘텐츠제작전문가 업종을 추가 등록할 때 기존 업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지, 아니면 업태 추가가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99제곱미터 건물 매매 시 사업자의 부가가치세 부과 기준은 무엇인가요?
카페 휴게음식업에서 전자상거래업으로 업종을 변경할 때 사업자등록번호를 계속 사용할 수 있나요?
개인사업자가 주업태는 그대로 두고 프리랜서로 추가 업태를 등록할 때 매출이 없더라도 업태 추가가 가능한가요?
카페 휴게음식업에서 전자상거래업으로 업종변경 시 허가증 폐기 후 사업자등록에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