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의 감가상각비 계상액이 2천만원일 때, 어떻게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나요?

    2025. 8. 10.

    감가상각비 2천만원을 계상하려면 먼저 자산의 취득가액·잔존가액·내용연수·상각방법을 정하고, 선택한 상각방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 정액법: (취득가액 - 잔존가액) ÷ 내용연수 = 연간 감가상각비. 예를 들어 취득가액이 1억 원, 잔존가액이 0원, 내용연수가 5년이면 1억 ÷ 5 = 2천만원이 연간 감가상각비가 됩니다.
    • 정률법: 장부가액 × 정률(상각률) = 연간 감가상각비. 정률은 자산별 세법이 정한 상각률(예: 20% 등)이며, 첫 해에 2천만원을 얻으려면 장부가액을 2천만원 ÷ 상각률으로 역산합니다.
    • 계산 흐름: ① 취득가액·잔존가액을 파악 → ② 내용연수와 상각방법 선택 → ③ 위 공식에 대입해 2천만원이 나오도록 조정합니다. 이렇게 산출된 금액은 법인세법 제23조·소득세법 제28조·소득세법 시행령 제62조에 따라 손금(필요경비)으로 전액 계상됩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감가상각비를 계산할 때 필요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정액법과 정률법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내용연수와 상각방법은 어떻게 선택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