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선비 회계처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2025. 8. 14.
수선비는 자산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으로, 수익적 지출(비용)과 자본적 지출(자산)으로 구분해 회계처리합니다.
- 수익적 지출: 원상 회복·능률 유지 목적(예: 엔진오일 교체, 건물 도장) → 당기 손금으로 처리(수선비 계정 차변, 현금·미지급금 대변).
- 자본적 지출: 내용연수 연장·가치 증가(예: 엔진 교체, 엘리베이터 설치) → 자산 계정에 가산 후 감가상각(건물·차량 등) → 차변에 해당 자산, 대변에 현금·미지급금.
- 구분 기준: (①) 금액 300만원 미만, (②) 자산가액 5% 이하, (③) 3년 미만 주기적 수선은 비용 처리.
- 분개 예시: 수선비 200,000 / 현금 200,000 (비용) ; 건물 10,000,000 / 현금 1,000,000 / 미지급금 9,000,000 (자산)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수선비와 수리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을 구분하는 구체적인 기준은 무엇인가요?
수선비를 비용으로 처리할 때 필요한 증빙 서류는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