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예납 시 이익잉여분 처분을 위한 계산서는 어떻게 작성하나요?

    2025. 8. 20.

    중간예납 시 이익잉여분을 처분하려면, 먼저 해당 사업연도의 순이익에서 법인세·지방소득세를 차감한 후 배당가능이익(법인세법 시행령 제86조의3)과 비교해 처분 가능한 이익잉여분을 산정합니다. 그 다음 중간예납액을 계산하고, 이익잉여분 처분액과 중간예납액의 차액을 정산해 ‘이익잉여분 처분 계산서’를 작성합니다.

    • 필수 항목: 법인명·사업연도·순이익·배당가능이익·이익잉여분 금액·중간예납액·차액·적용 법조항·담당자 서명·작성일자
    • 계산 근거: 법인세법 제60조(예납), 법인세법 시행령 제86조의3(배당가능이익), 법인세법 제56조(이익잉여분 처분)
    • 작성 순서: ① 순이익·배당가능이익 확인 → ② 처분 가능한 이익잉여분 산정 → ③ 중간예납액 산출 → ④ 차액 정산 → ⑤ 위 항목을 표 형식으로 정리 후 서명·날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중간예납을 할 때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이익잉여분 처분 시 세무조정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배당가능이익과 이익잉여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