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액법과 정률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2025. 8. 21.
정액법은 자산 취득가액을 내용연수로 나누어 매년 동일한 금액을 상각하는 방식이며, 예측이 쉽고 주로 건물·무형자산에 적용됩니다. 정률법은 매년 잔존가액에 일정 비율을 곱해 상각액을 산정해 초기 비용이 크게 인식되고, 기계·차량 등 내용연수가 짧은 자산에 적합합니다.
- 정액법: 매년 동일 금액 → 비용 배분이 균등, 회계·세무 처리 간단, 건물·구축물·무형자산에 주로 사용.
- 정률법: 잔존가액×상각률 → 초기 상각액 크고 점차 감소, 기계·차량 등 초기 비용이 큰 자산에 적용.
- 선택 시 고려사항: 자산 특성·사용 패턴, 기업 재무·세금 전략, 예측 가능성·관리 용이성.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감가상각 방법 변경이 가능한가요?
정액법과 정률법 중 어떤 방법이 세금 절감에 유리한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