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화 환산 차이: 페이팔 입금 시 환전이 이루어졌다면 환전일 기준 환율(국세청 고시 환율)으로 원화 환산액을 사용하고, 환산 차액이 발생하면 ‘환차익’·‘환차손’ 계정에 각각 기록합니다.
증빙 확보: PayPal ‘활동내역 → 다운로드(맞춤검색)’에서 CSV 파일을 7년까지 다운로드할 수 있으니(네이버 지식iN 답변) 이를 회계 전표와 함께 보관합니다. 거래일자·거래ID·금액·상대방 정보가 포함된 파일은 적격증빙으로 인정됩니다(‘종합소득세 페이팔 매입증빙’ 참고).
부가세 신고: 해외 재화·용역 공급은 영세율 적용이므로 부가세 신고 시 ‘수출 매출’로 구분하고, 수출 실적증명(소포수령증 등)과 PayPal 거래 내역을 첨부합니다(‘페이팔로 미국 수출(재화) 대금 입금 시 부가세 매출 신고 기준’ 참고).
전표 예시
매출 전표: 차변 현금(또는 은행) ○○원 / 대변 매출 ○○원
수수료 전표: 차변 수수료 비용 ○○원 / 대변 현금(또는 은행) ○○원
환차익/환차손 전표: 차변/대변 환차익(또는 환차손) ○○원 / 대변/차변 현금(또는 은행) ○○원
위 절차대로 기록하면 회계 장부와 세무 신고 모두에 적합한 증빙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