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실에서 4대보험을 미가입했을 경우 과태료는 어떻게 부과되나요?
2025. 9. 26.
미용실 등 사업장에서 근로자를 고용하면 4대보험(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 가입이 의무입니다.
- 가입 의무 위반 시 각 보험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국민연금법·국민건강보험법·고용보험법·산재보험법 모두 ‘당연적용사업장’으로 지정된 경우, 가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보통 100만원 이하) 가 부과됩니다.
- 고용보험은 입사일 다음달 15일까지 신고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되고, 신고 지연·미신고 시 각각 3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적용됩니다.
- 또한, 4대보험 미가입 시 정부지원금·세액공제 등 혜택을 받을 수 없으며, 세무상 비용 인정도 제한됩니다. 따라서 미용실에서 인원을 고용한다면 반드시 4대보험을 가입·신고하고, 신고 기한을 지키는 것이 과태료를 피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정선화 변호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변호사정선화법률사무소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미용실에서 근로자를 프리랜서로 계약할 경우 4대보험 의무는 어떻게 되나요?
고용보험 신고를 늦게 하면 구체적으로 어떤 과태료가 부과되나요?
4대보험을 가입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세액공제 혜택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간이과세자가 아니면 회사에 세무 정보가 노출되어 걸릴 가능성이 있나요?
사업자 겸직 상황에서 회계·세무 프로그램을 개인용으로만 사용한다는 것은 정확히 무슨 의미인가?
사내 겸업 금지 규정이 있는 상황에서 개인사업자 이커머스로 회사에 들키지 않도록 하는 방법 중 2번 항목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시고, 3번 항목이 회사에 발각되지 않는 것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설명해 주세요.
대기업 직장인으로서 개인 이커머스 사업을 회사에 알리지 않고 운영할 수 있나요?
1000만원 예금에 2.9% 이자와 15.5% 세금을 적용했을 때 실 수령액은 얼마인가요?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