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득 프리랜서의 업종 코드를 알려 주세요.

    2025. 9. 29.

    프리랜서가 사업소득을 신고할 때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업종코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프리랜서 직종별 주요 코드와 적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타자영업 – 940909
      • 번역가, 작가, 디자이너 등 별도 분류가 없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2. 학원·강사 – 940903
      • 학원 강사, 과외 교사, 교육 컨설턴트 등.
    3. 가수·음악·연예 – 940304, 940305, 940302 등
      • 가수(940304), 작곡·작사가(940301), 배우·MC·코미디언(940302).
    4. 디자인·예술 – 940200, 940100 등
      • 회화·조각·만화가(940200), 저술·번역·학술·문예(940100).
    5. 소프트웨어·프리랜서 개발자 – 940926
      • 소프트웨어 개발·제작·유지·관리.
    6. 유튜버·BJ·크리에이터 – 940306
      •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7. 대리운전·퀵서비스·배달 – 940913, 940918 등
      • 대리운전(940913), 퀵서비스·배달(940918).
    8. 전문 컨설팅·자문 – 940600
      • 자문·감독·지도료·교정·타자 등.
    9. 기타 특수 직종 – 940901(바둑기사), 940904(직업운동가), 940912(간병인) 등.

    선택 팁

    • 직종이 위 리스트에 명시된 코드와 정확히 일치한다면 해당 코드를 사용합니다.
    • 해당되지 않을 경우 가장 포괄적인 기타자영업(940909) 코드를 적용하면 됩니다.
    • 사업자등록 시 홈택스(국세청)에서 업종코드 검색 기능을 활용해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프리랜서가 사업자등록을 하면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요?
    프리랜서 사업소득 신고 시 필요경비는 어떻게 산정하나요?
    프리랜서가 4대보험을 가입하려면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