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비자 소지자가 3.3% 원천징수 후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만 가입하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은 무엇인가요?

    2025. 10. 16.

    H2비자 소지자가 3.3% 원천징수 후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에만 가입하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결론:

    3.3% 원천징수된 소득은 프리랜서 소득으로 간주되어,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소득 발생 사실에 따라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

    근거:

    1. 3.3% 원천징수의 의미: 3.3%는 소득세(3%)와 지방소득세(0.3%)를 합한 금액으로, 이는 사업소득 또는 프리랜서 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입니다. 따라서 해당 소득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에 포함됩니다.
    2.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H2비자 소지자라 할지라도 한국에서 발생한 모든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등)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3.3% 원천징수된 소득은 사업소득으로 분류되어 다른 소득과 합산됩니다.
    3. 신고 방법:
      •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홈택스를 통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 신고 시, 3.3% 원천징수된 소득뿐만 아니라 다른 소득이 있다면 모두 합산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 필요경비 등 관련 증빙 서류를 잘 챙겨 신고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가입: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가입은 근로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제도이지만,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와는 별개입니다. 3.3% 원천징수된 소득에 대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가산세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H2비자 소지자가 한국에서 일할 때 홈택스를 통한 세금신고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종합소득세 신고 시 받을 수 있는 공제 항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