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가치와 사용가치의 차이를 설명해줘.
2025. 10. 19.
공정가치는 시장 참여자에게 자산을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할 때 주고받을 가격을 의미하며,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 창출 단위에서 미래에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를 의미합니다.
공정가치와 사용가치의 차이점:
측정 기준:
- 공정가치: 시장 참여자의 관점에서 측정됩니다. 즉, 시장에서 거래될 때의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 사용가치: 기업 내부의 경영자 관점에서 측정됩니다. 기업이 자산을 사용하여 미래에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환산한 것입니다.
평가 주체:
- 공정가치: 시장 참여자(매수자와 매도자) 간의 정상적인 거래에서 결정됩니다.
- 사용가치: 기업의 경영진이 미래 현금 흐름을 추정하여 산정합니다.
활용:
- 공정가치: 주로 자산의 취득 원가, 투자 자산의 평가, 사업 결합 시 피취득자의 자산·부채 평가 등에 사용됩니다.
- 사용가치: 자산 손상차손을 인식할 때 회수가능액을 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자산의 장부 가치가 사용가치보다 클 경우 손상차손을 인식합니다.
예시:
- 상장 주식: 활발하게 거래되는 상장 주식의 경우,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이 시가이며, 이는 공정가치와 사용가치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장이 충분히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비상장 주식 또는 특정 설비: 거래가 거의 없어 시가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기업의 미래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할인하여 산정한 사용가치가 공정가치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설비의 경우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공정가치)보다 해당 설비를 사용하여 미래에 창출할 수 있는 수익(사용가치)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공정가치와 사용가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공정가치를 산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시가와 적정가격은 어떻게 구분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부가가치세 예정신고를 하지 않고 예정고지 세액을 납부한 경우, 추후 경정청구가 가능한가요?
법인사업자로서 부가가치세 예정고지세액 4,696,000원일 경우, 1-3월 57,922,149원, 4-6월 43,483,096원, 7-9월 44,529,082원의 매출로 1/3 미달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을 때, 예정신고를 하는 것이 나은가 아니면 예정고지세액을 납부하는 것이 나은가? 또한, 부가세 환율 적용 시 서울외국중개(주) 사이트의 환율을 적용해도 되는가?
사업부진으로 인한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시, 예정신고기간의 공급가액이 직전 과세기간보다 1/3 미만으로 감소한 경우를 말하는 것이 맞나요?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