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통보 기간을 지키지 못했을 때 법적 책임은 어떻게 되나요?

    2025. 10. 25.

    퇴사 통보 기간을 지키지 못했을 경우, 퇴사 자체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회사 내규나 근로계약에 따라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퇴직금 지급을 지연하는 등의 불이익 조항은 무효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법적 효력: 근로기준법에는 근로자의 퇴사 통보 기간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이 없습니다. 따라서 근로자는 원칙적으로 언제든지 퇴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업주의 영업권 및 재산권을 보장하기 위해 민법 제660조에 따라 일정 기간 전에 통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손해배상 책임: 근로자가 퇴사 통보 기간을 지키지 않아 회사에 업무 공백 등 실질적인 손해가 발생한 경우, 회사는 근로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민법상 일반 원칙에 따릅니다.
    3. 근로계약 및 취업규칙: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에 명시된 퇴사 통보 기간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 해당 규정에 따라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퇴직금 지급을 늦추거나 지급하지 않는 등의 조항은 근로자의 권리를 부당하게 제한하는 것으로 무효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예외: 이직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퇴사 통보 기간을 지키지 못한 경우, 회사와 협의를 통해 원만하게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변호사정선화법률사무소
    정선화 변호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변호사정선화법률사무소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퇴사 통보 시 법적으로 요구되는 최소 기간은 얼마인가요?
    퇴사 통보 기간을 지키지 못했을 때 회사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퇴사 통보 기간을 지키지 못했을 때 퇴직금은 어떻게 되나요?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퇴사 통보 기간을 지키지 못했을 경우 법적 효력은 어떻게 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음식점에서 주류 판매에 대한 주세 신고는 언제 해야 하나요?

    신규사업자가 간이과세자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가사도우미가 연말정산을 해야 하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