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정당한 퇴사 사유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2025. 2. 3.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정당한 퇴사 사유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들이 있습니다:

    1. 근로조건 악화: 실제 근로조건이 채용 시 제시된 조건보다 낮아진 경우
    2. 임금 문제: 임금체불이 있거나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경우
    3. 근로시간 위반: 법정 연장근로 제한을 위반한 경우
    4. 차별 대우: 종교, 성별, 장애 등으로 불합리한 차별을 받은 경우
    5.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 성폭력, 기타 괴롭힘을 당한 경우
    6. 휴업: 사업장의 휴업으로 휴업임금을 지급받는 경우
    7. 휴가·휴직 불허: 임신, 출산, 육아, 병역의무 등의 휴가나 휴직을 허용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사유들은 1년 이내 2개월 이상 지속되었을 때 인정되며, 관련 증빙이 필요합니다.

    법무법인웨이브
    김혜림 변호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법무법인웨이브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실업급여 수급을 위한 구체적인 증빙서류는 무엇인가요?
    자발적 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했더라도 다운계약서 작성으로 인해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알려주세요.

    미용실 직원의 근로자성 판단 기준은 무엇인가요?

    근로기간 2024년 11월 24일부터 2024년 12월 26일까지, 총 보수 월 3,100,000원, 근로일수 11일 미만 시 50% 지급, 11일 이상 시 100% 지급, 전도금 한 달 30일 기준 100만원 한도 내 실비 정산 및 잔액 급여 포함하는 근로계약 내용과 급여지급방식이 괜찮은지 알려줘.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