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급휴가와 결근이 급여명세서에 어떻게 표시되는지 알려줘.

    2025. 11. 18.

    무급휴가와 결근은 급여명세서에 다르게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근로자의 권리 행사 여부에 따라 구분됩니다.

    결론적으로, 무급휴가는 근로자의 권리 행사로 인정되어 급여명세서에 '무급휴가'로 표시될 수 있으나, 결근은 근로 제공 의무 불이행으로 간주되어 '결근'으로 표시됩니다. 두 경우 모두 임금이 공제되지만, 그 의미와 영향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근거:

    1. 무급휴가: 근로자가 법률 또는 회사 규정에 따라 부여받은 휴가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근로자가 근로 제공 의무를 면제받는 것으로, 급여명세서에는 '무급휴가'로 명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법정 무급휴가(일부)나 약정 무급휴가 등이 해당됩니다.
    2. 결근: 근로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근로 제공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는 근로자의 의무 불이행으로 간주되며, 급여명세서에는 '결근'으로 표시됩니다. 결근 시에는 해당 일수에 대한 임금이 공제됩니다.

    차이점 및 영향:

    • 인정 여부: 무급휴가는 근로자의 권리 행사로 인정되지만, 결근은 의무 불이행으로 간주됩니다.
    • 급여 공제: 두 경우 모두 임금이 공제되지만, 무급휴가는 휴가 사용으로 인한 것이고 결근은 근로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대한 공제입니다.
    • 기타 영향: 무급휴가 기간은 원칙적으로 연차휴가 발생 계산 시 출근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으나, 회사 규정에 따라 출근으로 인정될 수도 있습니다. 반면, 결근은 연차휴가 발생 요건 충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참고: 급여명세서에 '결근'으로 표시되는 경우, 실제 결근이 아니더라도 담당자의 실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회사에 확인하여 정확한 기재를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무급휴가 기간 동안 연차휴가 계산은 어떻게 되나요?
    연차휴가 발생 요건은 무엇인가요?
    무급휴가와 결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무급휴가 사용 시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홈
    홈으로
    전문가들이 검증한 다른 콘텐츠 보기
    말풍선
    새 질문하기
    세무·노무·법률, AI 세나가 24시간 답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