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연말정산에서 3월 이후 소득이 없는 경우 남편 명의의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나요?
2025. 7. 1.
2025년 연말정산에서 3월 이후 소득이 없는 경우, 남편 명의의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지 여부는 소득공제 기준과 공제율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 소득공제 기준: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총급여액의 25%를 초과하는 사용금액에 대해 적용됩니다.
- 공제율: 신용카드는 사용금액의 15%가 공제됩니다.
만약 3월 이후 소득이 없다면, 본인의 총급여액이 낮아 신용카드 소득공제 기준(총급여액의 25%)을 충족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소득이 있는 남편의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남편의 소득공제 한도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맞벌이 부부의 경우 가족카드를 사용하더라도 소득공제는 카드 사용자 기준으로 각각 적용되므로, 실제 결제자가 누구인지가 중요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맞벌이 부부가 가족카드를 사용했을 때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어떤 기준으로 적용되나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중 어떤 것을 사용하는 것이 소득공제에 더 유리한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2025년 연말정산에서 2개월 동안은 본인, 나머지 10개월은 남편이 자녀를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는지, 그리고 본인도 자녀와 함께 부양가족 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법인수익으로 자문료를 받을 때 지급기관에 부가세를 포함한 금액으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체납처분 취소의 소에는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이 포함될 수 있나요?
운반비와 통신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타인 명의 개인사업자를 내 명의로 변경 후 법인 설립 시 기존 타인 명의 개인사업자의 자산이나 권리 등을 새로 설립한 법인에 귀속시킬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