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상품 판매 시 수수료 공제 후 실제 받은 금액이 아닌 총 판매금액(33,000원)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내야 하는 것이 맞나요?
2025. 7. 22.
아닙니다. 인터넷에서 상품을 판매할 때 부가가치세는 총 판매금액이 아닌,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공제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수수료 등 매입 관련 부가가치세가 있다면 이를 공제한 후 납부할 부가가치세가 결정됩니다.
- 부가가치세의 기본 원리: 부가가치세는 상품이나 재화가 생산 및 유통되는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는 간접세의 성격을 가집니다.
- 매출세액과 매입세액: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하여 소비자로부터 받은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이 됩니다. 반대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재료를 구매하거나 수수료를 지불하는 과정에서 부담한 부가가치세는 '매입세액'이 됩니다.
- 납부할 부가가치세 계산: 실제로 납부해야 할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뺀 금액입니다. 즉, (매출세액 - 매입세액)으로 계산됩니다. 만약 매입세액이 매출세액보다 많다면 환급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온라인 판매 수수료: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상품을 판매할 경우, 플랫폼 수수료에 포함된 부가가치세는 판매자의 매입세액으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총 판매금액 33,000원 중 부가가치세 3,001원은 매출세액이 되며, 수수료에 대한 매입세액을 공제하여 실제 납부할 세액이 결정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부가가치세 환급은 어떤 경우에 받을 수 있나요?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고 온라인 콘텐츠를 판매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