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측면: 귀금속을 직접 제조하여 판매한다면 '33110 (귀금속 및 관련제품 제조업)' 코드를 사용합니다. 다만,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이라도 직접 제품을 기획하고, 원재료를 구입하여 제공하며, 자기 명의로 제조하고 완성품을 직접 판매하는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제조업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도매업 측면: 귀금속을 직접 제조하지 않고 도매로 구매하여 판매한다면 '46492 (귀금속 및 장신용품 도매업)' 코드를 사용합니다.
소매업 측면: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경우 '523922 (시계 및 귀금속 소매업)' 코드를 사용합니다. 특히 온라인 판매의 경우 'G47911 (전자상거래 소매업)' 코드를 추가로 등록해야 합니다.
사업의 실질에 따라 제조업, 도매업, 소매업 코드를 복합적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특히 직접 제작하는 경우 제조업 코드를 주업종으로 등록하는 것이 정부 지원금 등 혜택을 받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OEM 방식으로 귀금속을 제조하는 경우 제조업으로 인정받기 위한 구체적인 조건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