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사업자등록 시 업종 코드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하나요?
2025. 7. 24.
건설업 사업자등록 시 업종 코드는 실제 영위하려는 사업 내용에 가장 적합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 사업의 실질 반영: 업종 코드는 실제 수행할 사업 내용을 정확히 반영해야 합니다. 여러 업종에 해당할 수 있다면, 세금 혜택을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세무 조사 위험: 여러 업종 코드를 등록하여 신고 부가율이 평균 부가율과 크게 차이 날 경우, 세무 조사 대상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사업을 가장 잘 반영하는 1~2개의 코드를 등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인허가 사항 확인: 사업할 종목 중에 인허가가 필요한 경우, 사업자등록 신청 전에 반드시 해당 인허가 절차를 먼저 완료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건설업은 인허가증이나 신고필증이 필요합니다.
- 세금 혜택 및 의무: 업종에 따라 복식부기 의무자 기준 수입금액, 경비율 적용, 세액 공제 및 감면 적용 여부, 간이과세자 신청 가능 여부, 부가가치율 등이 달라집니다. 특히 중소기업창업세액감면과 같은 세액 감면은 특정 업종에 한하여 적용되므로, 사업 시작 전 전문가와 상담하여 유리한 업종 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법인 등기부등본 목적 일치: 법인의 경우, 선택하는 종목은 반드시 법인 등기부등본에 기재된 목적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사업자등록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사업자등록 후 업종 변경은 어떻게 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