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자산의 비용처리와 자산처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2025. 8. 5.
기업이 자산을 취득했을 때 해당 자산을 비용으로 처리할지, 고정자산으로 처리할지는 취득가액과 사용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 비용 처리: 취득한 연도에 전액 비용으로 인정받아 당기 소득을 줄여 법인세 또는 소득세 부담을 즉시 경감할 수 있습니다. 특히 취득가액이 백만 원 미만인 자산은 세무상 즉시 비용 처리가 가능하여 자산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자산의 가치가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는 경우, 해당 자산의 실제 사용 기간과 비용 인식 기간이 일치하지 않아 회계상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고정자산 처리: 취득가액이 백만 원 이상인 자산은 고정자산으로 분류되어 감가상각을 통해 내용연수 동안 비용으로 배분됩니다. 이는 자산의 실제 사용 기간에 걸쳐 비용을 인식함으로써 기업의 재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산의 내용연수가 길수록 장기적인 세금 분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취득 연도에 전액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므로, 단기적인 세금 절감 효과는 비용 처리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감가상각은 무엇이며, 어떻게 계산되나요?
회계상 감가상각과 세무상 감가상각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