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자 가족이 일용직으로 근무할 경우 급여 지급과 세금 신고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2025. 8. 7.
대표자 가족을 일용직으로 고용하면 실제 근무와 급여 지급을 증빙하고, 근로소득 원천징수와 신고를 해야 합니다. 급여는 원천세를 원천징수하고, 근로자성 인정 시 근로내역확인신고·보수총액신고를 해야 하며, 4대보험(건강보험·국민연금)은 가입하고, 고용·산재보험은 상황에 따라 적용 여부를 판단합니다.
- 실제 근무를 증명하기 위해 근무일지·급여이체 내역 등 증빙을 보관해야 합니다.
- 급여 지급 시 원천징수세를 계산·납부하고, 원천징수이행상환신고서와 지급명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가족이 일용근로자로 인정될 경우, 근로내역확인신고(익월 15일까지)와 보수총액신고(익년 3월 15일까지)를 해야 합니다.
- 4대보험 중 건강보험·국민연금은 가입 의무가 있으며, 고용보험·산재보험은 근로자성 여부에 따라 적용 여부가 달라집니다.
정성훈 회계사가 검증한 답변이에요.
지수회계법인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가족을 일용직으로 고용할 때 급여 수준은 어떻게 정해야 하나요?
가족 직원의 4대보험 가입 의무는 어떻게 판단하나요?
일용직 가족 직원의 근로시간 기록은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
2024년 간편장부 신고를 2025년 8월 11일에 늦게 신고할 경우, 소득금액 3,508,102원, 본인공제 1,500,000원, 산출세액 2,008,102원, 납부액 120,486원일 때 발생하는 가산세는 얼마인가요?
대학생 자녀가 아르바이트를 할 경우 부모의 연말정산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2022년도 기준이 불리하고 2025년도 기준이 납세자에게 유리할 때, 어느 기준이 적용되나요?
2024년 간편장부 대상자가 2025년 8월 11일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려고 할 때, 본인공제만 적용한 경우의 종합소득세 납부액과 무신고 가산세 및 미수취 가산세 등을 포함한 총 가산세를 계산해 주세요.
법인 설립 후 5년 이내에 부동산을 신규로 취득하면 중과세가 적용되는 경우는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