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스토어 정산 분개 시 외상매출금 대신 미수금 계정을 사용해도 되나요?

    2025. 8. 25.

    스마트스토어 정산 시 매출이 발생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외상매출금(매출채권) 계정을 사용합니다. 외상매출금은 상품·서비스를 외상(신용)으로 판매했을 때 발생하는 채권을 의미하며, 회계기준서 제6호(매출채권)에서 매출채권은 ‘외상매출금’으로 분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반면 미수금은 세금 환급, 보증금, 선급금 등 매출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기타 채권을 기록하는 계정으로, 매출 발생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따라서 스마트스토어 정산에서 외상매출금을 미수금으로 대체하는 것은 회계원칙에 맞지 않으며, 재무제표의 정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근거

    • 스마트스토어 정산 예시에서는 매출 발생 시 ‘외상매출금’을 차변, 매출·부가세예수금을 대변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출처1】.
    • 네이버 지식iN 답변에서도 매출 인식 시 ‘외상매출금’ 계정을 사용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출처2】.
    • 비즈넵 AI 답변에서도 구매확정 시 ‘외상매출금(매출채권)’을 차변으로 분개하고 있습니다【출처3】.

    따라서 스마트스토어 정산 분개에서는 외상매출금을 사용하고, 미수금은 매출과 무관한 기타 채권에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질문들을 찾아봤어요.
    스마트스토어 정산 시 수수료는 어떤 계정으로 처리하나요?
    외상매출금과 미수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부가세예수금은 언제 인식하고 어떻게 처리하나요?
    사장님, 세무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이런 질문은 궁금하지 않으세요?